LS일렉트릭, 텍사스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북미 전력시장 정조준

한지우 기자 2025-04-16 11:29:55
▲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전경 (사진= LS일렉트릭 제공)

LS일렉트릭이 미국 텍사스주 배스트럽시에 북미 시장 전초기지 역할을 할 복합 캠퍼스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현지화 전략에 나섰다.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배스트럽시에서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을 비롯해 존 커클랜드 배스트럽 시장, 텍사스 주정부 및 지역 산업계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배스트럽 캠퍼스는 약 4만6천㎡ 부지에 건물 연면적 3천300㎡ 규모로 조성됐다. 생산, 연구개발(R&D), 설계, 기술지원 등 북미 전력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복합 기능이 통합된 시설로, LS일렉트릭의 북미 전략을 뒷받침할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게 된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부터 해당 부지와 건물을 매입하고 설비를 구축하는 등 준비작업을 진행해 왔다. 올해부터는 중·저압 전력기기와 배전시스템(Switch Gear) 등 북미 전력사업의 전략 제품을 본격적으로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현지 생산을 통해 미국 내 관세 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고객에게는 보다 신속한 공급과 기술 지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캠퍼스 준공과 함께 LS일렉트릭은 미국 내 또 다른 거점인 유타주 시더시티의 배전시스템 생산 자회사 'MCM엔지니어링Ⅱ'와 함께 양대 체제로 북미 시장을 본격 공략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전력기기 생산부터 기술지원, 애프터서비스(AS)까지 사업 밸류체인의 전 영역에 걸쳐 현지화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구자균 회장은 환영사에서 "배스트럽 캠퍼스는 LS일렉트릭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전환점이자 북미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는 기회"라며 "2030년까지 2억4천만 달러를 추가 투자하고 지역 인력을 적극 채용해 북미 전력 솔루션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전역에 걸쳐 생산과 기술, 서비스 인프라를 확장해 제품, 공급망, 고객지원까지 철저한 현지화를 추진하겠다"며 "해외 매출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리고 미국 내 상위 4대 전력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LS일렉트릭은 북미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북미 지역 매출은 약 1조3천억 원을 기록했으며, 지난달에는 1천600억 원 규모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에 배전시스템을 공급하는 대형 프로젝트도 수주했다.

LS일렉트릭 미국 법인인 'LS ELECTRIC America'를 중심으로 북미 전역에 유통망과 서비스 인프라를 강화해 나가며, 글로벌 메이저 전력기기 기업인 슈나이더, 지멘스, 이튼, ABB 등과의 격차를 줄이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배스트럽 캠퍼스를 통한 현지 생산 기반 확보는 북미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소"라며 "공급 안정성과 동시에 관세 리스크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