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날부터 오는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 간 포항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포항은 주력산업인 철강업이 중국발 저가 공세와 건설 경기 악화에 따른 수요 부진, 미국 관세 폭탄 등으로 위기에 빠지면서 지역 상권 붕괴와 함께 인구 유출에 따른 지방 소멸위기를 겪고 있다.
포항시는 앞서 지난달 18일 지역 철강산업 업황의 현저한 악화가 우려된다며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 절차에 따라 포항시가 제출한 신청서를 검토하고, 현지 실사와 관계부처·지자체 실무 협의,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포항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지정했다.
정부는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에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우대,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등을 제공한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10억 원 한도에서 3.71%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7천만 원 한도에서 2.68%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한다.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비율도 대기업 설비 투자의 경우 기존 4∼9%에서 12%로 상향 적용된다. 중소기업 설비 투자는 8∼15%에서 25%로 높아진다. 또 정책금융 기관은 중소기업 만기 연장·상환 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은 협력 업체·소상공인 대상 우대 보증 지원 프로그램을 내놓는다.
포항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자 지역 정치계와 경제계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국민의힘 김정재 국회의원(포항 북구)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SNS)를 통해 "비록 늦은 감은 있지만 정부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환영한다"며 "정부 예산과 정책이 제대로 집행되도록 챙기겠다"고 밝혔다.
같은당 이상휘 국회의원(포항 남구·울릉)도 "포항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철강산업 경쟁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K-스틸법 통과를 통해 국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시와 포항시의회는 "이번 지정이 지역 산업 회복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친환경 철강 전환,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 개편 등 철강산업 구조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포항상공회의소는 "철강산업 전기요금 한시적 인하 요구가 포함되지 않은 점은 다소 아쉽다"면서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계기로 절체절명의 어려움에 직면한 철강산업을 지켜내고 지역경제가 하루속히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환영 의사를 나타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