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의회 황재철 도의원(국민의힘·영덕)은 지난 4일 열린 제35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참다랑어 어획한도 부족으로 영덕을 비롯한 동해 어민들이 생존 위협에 직면해 있다"며 경북도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황 도의원은 "불과 5년 전만 해도 보기 어려웠던 대형 참다랑어가 최근 30배 이상 잡히고 있으며, 지난 7월 영덕에서는 1천300여 마리가 어획됐다"며 "하지만 어획한도 부족으로 마리당 200만~300만 원에 거래되는 참다랑어를 그대로 버려야 했고, 어민들은 하루 만에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 손실을 입는 황당한 상황을 겪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획한도 문제를 방치하면 어민들의 생계 피해뿐만 아니라 대량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과 어족자원 낭비까지 초래한다"며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 도의원은 일본과 한국의 2025년도 참다랑어 어획한도를 비교하며 현행 제도의 불합리성을 지적했다. 일본은 1만2천828톤(대형 8천421톤·소형 4천407톤)인데 반해 한국은 1천219톤(대형 501톤·소형 718톤)에 불과해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중서부 태평양 수산위원회'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북도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해양 생태계 자료를 수집해 해양수산부에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황 도의원은 국내 어획한도 배분의 불균형 문제도 짚었다. 현재 전체 어획한도 1천219톤 중 대형선망에는 절반 이상인 610톤이 배정되는 반면, 정치망은 200톤에 그친다는 것이다.
그는 "어업 현실에 맞게 어획한도 배정량을 재조정해야 한다"며 "정부는 현장 상황에 맞는 유연한 어업 정책으로 전환해, 혼획된 대형 참다랑어는 유보량을 활용해 수매·유통하는 등 능동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참다랑어 문제를 방치하는 것은 어업을 포기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며 "동해 어업의 중심지인 영덕을 비롯한 경북 어업이 도약할 수 있도록 경북도가 앞장서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