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800원에 옷 두 벌 사고 밥 먹기 성공" 고물가 시대, 가성비 좇는 시민들

반월당역 메트로센터에서 보낸 가성비 넘치는 기자의 하루
경기 침체·고물가로 허리띠 졸라매는 서민들
가성비 구제옷·가성비 식당에 몰리는 모습
구연주 기자 2025-02-14 13:55:03
지난 13일 대구 중구 반월당 지하상가 내 저가 의류점포에서 소비자들이 옷가지들을 살펴보고 있다 / 매일신문 제공

고물가에 씀씀이를 줄이는 사람들이 늘면서 이른바 '가성비'가 좋은 식당이 인기를 끌고 있다. 경기침체로 구제 의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30도 구제 의류 관심

12일 오전 11시쯤 찾은 대구 중구 반월당역 메트로센터에 있는 한 구제 옷 가게. 이곳은 해외백화점브랜드 구제를 할인해서 판매하는 곳으로, '9,900원'이라고 적힌 안내문이 옷걸이마다 걸려 있었다.

이곳에서 웬만한 옷은 9천900원 밑으로 살 수 있고, 버버리, 닥스 등 명품이나 이에 준하는 브랜드 의류도 2만원에서 2만5천원 사이에 구입할 수 있다. 이날 버버리는 이미 팔리고 없었다.

꽤 이른 시간임에도 매장 안엔 5명 이상의 손님이 옷걸이에 즐비한 구제 옷들을 세심하게 하나하나 살펴보며 마음에 드는 옷을 찾는 데 여념이 없었다.

기자 또한 이곳에서 마음에 드는 일본 보세 후리스('Fleece'의 일본식 발음. 양털 느낌이 나는 폴리에스터로 만든 인조 양털 외투를 뜻함)을 9천900원에 '득템'할 수 있었다. 근처에 있는 다른 지점에서도 단돈 4천900원에 질 좋은 하늘색 니트를 쟁이는 데 성공했다.

지난 12일 대구 중구 반월당역 메트로센터 안에 있는 구제 의류매장에서 기자가 9천900원에 구입한 일본 보세 후리스 / 매일신문 제공

이곳 매장에서 일하는 직원 류가란(38) 씨는 "구제 시장이 크게 형성돼 있는 부산에 비해 지금까지 대구에선 상대적으로 구제에 대한 인식이 '남이 있던 옷', '죽은 사람 옷' 등 좋지 않았다"며 "원래는 나이든 여성들이 주된 고객이었으나 최근엔 한창 돈을 아낄 때인 2030 젊은 직장인들이 가성비 좋은 구제 옷을 많이 찾는 것 같다. 1년 전만 해도 2030 비율이 10% 정도밖에 안 됐는데 최근엔 30% 정도는 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지점이 3곳으로 확대됐는데, 2호점인 이곳은 지난해 3월 문을 열었고, 서문시장에 3호점이 개점했으며, 월배 지역에서도 곧 오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13일 대구 중구 반월당 지하상가 내 뷔폐집이 값싼 가격에 식사를 하러 온 소비자들로 붐비고 있다 / 매일신문 제공

◆가성비 좋은 식당

'가성비 쇼핑'을 마친 후 5분 정도 걸어 메트로센터 안에 있는 보리밥 식당을 찾았다. 식당 유리에 붙여 놓은 '밥 나물 반찬 무한리필'이라고 적힌 안내문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점심시간이 한창인 정오 무렵이라 식당은 외부 테이블까지 꽉 찰 정도로 손님이 많았다. '혼밥러'를 위한 1인 전용 테이블까지 마련돼 있어 다양한 유형의 손님을 수용하기에 적합했다. 그 덕인지 테이블마다 손님 수, 성별, 연령대가 모두 다채로웠다.

이곳의 장점은 단돈 6천원이면 15여가지에 이르는 신선한 나물과 반찬, 그리고 밥과 국을 무한으로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가게에 들어가 테이블에 앉자마자 된장국과 시래깃국, 숭늉이 눈앞에 차려졌다. 기다란 테이블 위에 즐비해 있는 나물과 반찬들을 둘러보며 고심해서 그릇에 다 담고 나면 주방 아주머니가 계란후라이까지 올려준다.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이러한 식사를 6천원에 즐길 수 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지난 12일 대구 중구 반월당역 메트로센터 안에 있는 보리밥 뷔페에서 기자가 단돈 6천원에 먹은 점심 밥상 / 매일신문 제공

이날 이곳에서 점심을 먹은 남병호(69) 씨는 "가성비가 너무 좋고 집도 이 근처여서 아내와 함께 방문했다"며 "요즘 물가가 하도 비싸서 젊은 사람들도 꽤 많이 보이는 것 같다"고 했다.

식당 사장 남기석(68) 씨는 "우리 식당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잘되는 것 같다"며 "오전 10시 30분에 오픈을 하는데 그때부터도 손님들이 꽤 와서 이때부터 낮 12시까지 70명이 다녀간다. 저녁 6시 30분까지 영업하는데 하루에 오시는 손님이 140~150명은 된다. 아무래도 요즘 같은 시기에 가성비가 좋고, 특히 '웰빙'을 추구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지면서 손님들이 많이 몰리는 것 같다"고 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