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티니핑 한정판 굿즈 출시
2025-04-21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한순간에 잃은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 이재민들의 임시주택 입주가 지난 18일부터 본격 시작됐다.
경상북도는 이날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권정생 어린이문학관 부지 내에 모듈러주택 18동을 설치해 첫 입주를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경북도에 따르면 산불 발생 이후 도가 도입하기로 한 '경북형 모듈러주택'은 기존 이재민 임시주택 개념을 확장해 층층이 쌓거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한 게 특징이다. 도는 항구적 수준의 내구성을 확보해 향후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뒀다. 모듈러 주택은 이번 산불 피해를 입은 안동에 18동을 비롯해 의성 42동, 청송 20동, 영양 41동, 영덕 90동 등 총 211동이 공급된다.
입주를 시작한 일지면 모듈러주택은 2층 규모에 호당 약 30㎡(9평 정도, 중복도형)로, 현관, 욕실, 침실, 발코니로 구성됐다. 내부에는 싱크대, 냉난방기, 인덕션 등이 설치됐고 구호물품으로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밥솥 등)이 제공된다.
이날 입주식에 참석한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임시대피소에서는 고령의 어르신들이 장기간 머무르는 것은 쉽지 않다"며 "경북도가 선제적으로 모듈러주택을 제공해 신속히 입주할 수 있어 이재민에 대한 근심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었다. 새로운 임시 주거 모델로써 행정안전부에서도 각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김학홍 도 행정부지사는 "모듈러주택은 산불 피해 이재민들의 임시 주거용으로 사용한 이후에는 시·군 별 수요를 반영해 마을 공용시설, 계절근로자 숙소, 농어촌 민박 등으로 활용한다. 또 만일의 재난 시에는 신속히 설치해 구호에 사용하는 선순환 체계를 마련하는 등 이재민 임시 주거 대응 시스템을 개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