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부산 가야4구역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2025-04-21

정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방안'에 따라 경북 구미시가 핵심 수혜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20일 정부에 따르면 총 33조원 규모의 재정투자 계획은 인프라 구축,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투자지원, 차세대 기술개발, 우수 인재확보 등 4대 패키지로 구성됐으며, 구미는 각 분야에서 실질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력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비수도권 인프라 국비지원 비율이 기존 20%에서 40%로 상향되면서 최대 500억원에 이르는 국비 확보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산단 1~3단지를 연결하는 총사업비 1천500억원 규모의 교량사업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용수·전기공급시설, 폐수처리시설 등 기반 인프라 확충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투자보조금 제도도 새롭게 신설되면서 구미 지역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열렸다. 신규 설비투자 시 최대 50%까지 보조금 지원이 가능하며, 기업당 최대 200억원까지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반도체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세액공제율도 5%p 상향돼 대기업·중견기업은 최대 20%, 중소기업은 최대 30%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총 20조원 규모의 저리 금융투자 프로그램과 기술보증 한도 확대 조치까지 더해지며 기업들의 자금 조달 여건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는 이 같은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지역 차원의 전략도 빠르게 추진 중이다.
지난해 확정된 '반도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와 '첨단방위산업용 시스템반도체 부품 실증 기반구축' 사업에 이어 반도체특화단지 콤플렉스와 차세대 웨이퍼 관련 테스트베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순한 시제품 제작을 넘어 고기능성 소재 개발, 공정 기술 컨설팅, 인력 양성까지 아우르는 종합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번 정부의 반도체 지원 대책은 구미가 미래 산업을 선도할 결정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비 확보와 함께 지역 기업들의 투자 유치, 인재 양성, 첨단 기술 생태계 구축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